산업통상자원부는 5월 16일 서울 KPC 회의실에서 제3차 산업정책 민관협의회를 개최하고, 국내 11개 주요 업종협회와 함께 올해 설비투자 현황 및 대미 통상 대응 동향을 점검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 주요 산업의 올해 국내 설비투자 계획이 전반적으로 정상 이행되고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 앞서 2월 산업투자전략회의에서 발표된 119조 원 규모의 투자계획이 차질 없이 진행 중인 것으로 평가됐다.
업계는 위기 극복과 경쟁력 확보를 위해 투자가 핵심 수단이라는 데 의견을 모았으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세제·금융·보조금 등 다양한 정부 지원 확대를 요청했다. 구체적으로는 임시투자세액공제, 첨단전략산업기금에 의한 금융지원, 지역투자보조금 확대 등이 언급됐다.
또한, 최근 미국과 중국, 영국 간 무역 협상 및 관세 조치로 인해 글로벌 통상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상황에서, 업계는 대미 통상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 및 바이오 산업은 미국 정부에 한국 기업에 대한 신뢰 기반의 특례 적용을 요청하는 의견서를 제출했으며, 조선업계는 민관 공동으로 한미 협력 확대 방안을 마련 중이다.
이승렬 산업정책실장은 “지속적인 설비투자는 기업 생존을 위한 전략”이라며 “정부는 안정적인 투자 환경을 만들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관세 전쟁 등 외부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협의회를 중심으로 민관 간 긴밀한 소통과 협력을 이어가자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