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자영업자 노리는 ‘노쇼 사기’ 기승… 공공기관 사칭 피해 주의
  • 최재영 기자
  • 등록 2025-05-20 17:00:26
기사수정


경찰청은 최근 공공기관이나 정치권 관계자를 사칭해 대량 주문을 가장한 뒤 금품을 편취하는 ‘예약부도(노쇼) 사기’가 급증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이 사기 수법은 전화금융사기나 투자 리딩방 사기와 유사한 비대면 기반의 조직적 범죄로 확인됐다.


사기범들은 군인, 교도관, 국회의원 보좌관, 지자체 공무원, 연예인 소속사 직원 등을 사칭하며 자영업자에게 대량 주문을 요청한 뒤, 이후 자신들이 취급하지 않는 물품을 대신 구입해줄 것을 요구한다. 이른바 ‘2단계 속임수 구조’로, 처음 주문은 금전 편취를 위한 미끼일 뿐이며, 핵심은 대리구매 요청 단계에서 돈을 송금받는 데 있다.


실제 사례로는 떡집에 군 간부를 사칭해 떡 30만 원어치를 주문한 뒤, 전투식량 판매처 연락처를 보내고 대금을 대신 지불하라고 요청해 1,000만 원을 편취한 사건이 있었다. 피해자는 위조된 사업자등록증과 명함을 믿고 송금한 뒤 연락이 끊기는 피해를 입었다.


이 같은 수법은 역할만 바꿔 숙박업소, 명함 제작업체, 음식점, 컴퓨터 대리점 등 다양한 업종에서 반복되고 있으며, 피해자 수는 최근 5년간 537건으로, 피해 구제 건수도 4.7배나 증가했다는 통계가 확인되었다.


경찰은 사기 예방을 위해 대량 주문 시 반드시 직접 기관에 확인하고, 취급하지 않는 물품에 대한 대리구매 요청은 단호히 거절할 것을 권고했다. 또한 선입금을 요구하고, 수상한 경우 즉시 경찰에 신고할 것을 강조했다.


경찰청은 이번 사기 유형을 명백한 조직형 사기로 규정하고, 전국 특별단속을 통해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피해 예방을 위한 민간과 언론의 협조와 더불어, 관련 법률 개정도 추진 중이다.

0
유니세프
국민신문고고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