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5월 21일 양재 aT센터에서 ‘분산에너지특화지역 실무위원회’를 개최하고, 전국 11개 지자체가 신청한 분산에너지특화지역(이하 분산특구) 중 7곳을 후보지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분산특구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근거해 에너지 신사업에 필요한 규제 특례를 적용하고, 지역 내 전력 생산과 소비를 연계하며, 직접 전력거래도 허용되는 모델이다. 이를 통해 저렴한 전기요금 제공, 송전망 부담 해소,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동시에 도모한다.
후보지로 선정된 7개 지역은 아래와 같다:
제주특별자치도: 전기차를 ESS처럼 활용해 전력시장에 참여하는 V2G(Vehicle to Grid) 실증.
부산광역시: 에코델타시티 데이터센터와 부산항 선박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대형 ESS Farm 조성.
경기도 의왕시: ESS를 활용한 전기차 충전소 전력 공급 실증.
경북 포항시: 암모니아 기반 수소엔진 발전을 통한 무탄소 전력 공급 실증.
울산광역시: 지역 발전사가 전력직거래를 통해 석유화학업체에 저렴한 전기 공급.
충남 서산시: 대산산단 내 발전사가 석화기업에 직접 전력 공급.
전남 해남군: 해남 솔라시도에 태양광 기반 RE100 데이터센터 단지를 조성.
이들 지역은 향후 에너지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분산특구로 지정될 예정이며, 지정 시 규제 특례, 예산 지원, 전력거래 비용 감면 등의 혜택이 제공된다.
산업부는 이번 실무위원회 개최를 통해 지역 주도형 에너지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분산에너지 신사업의 활성화와 전력 계통 안정화, 산업단지 경쟁력 확보 등 다양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