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권익위원회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온라인 사기 민원에 대응하기 위해 ‘민원예보’를 발령했다고 22일 밝혔다. 지난 5월 5일부터 11일까지 일주일간 접수된 관련 민원은 총 378건으로, 전주 282건 대비 1.34배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민권익위는 가짜 온라인 쇼핑몰, SNS, 채팅 앱 등을 이용한 신종 사기 수법이 점점 교묘해지고 있어, 조기 경보 차원의 민원예보 제도를 가동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기존의 보이스피싱이나 스미싱 외에도 △유사 쇼핑몰을 통한 결제 후 미배송 사기 △페이백을 미끼로 한 알바 사기 △가짜 투자방(리딩방)을 통한 투자 유도형 사기 △SNS에서 접근해 금전을 요구하는 로맨스 스캠 등이 주요 사례로 나타났다.
한 피해자는 유명 브랜드를 사칭한 할인 사이트에서 결제 후 취소 요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아 피해를 입었고, 또 다른 사례에서는 텔레그램 채팅방을 통한 고수익 알바 미끼로 수백만 원을 송금한 후 연락이 두절된 일이 발생했다. 투자 유도형 사기의 경우, 실제로는 폰지 사기 형태로 수천억 원대 피해가 발생한 사례도 접수되었다.
국민권익위는 ‘국민의 소리’ 및 ‘한눈에 보는 민원 빅데이터’(bigdata.epeople.go.kr) 등을 통해 수집된 민원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분석·공개하며 관계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관계자는 “유사한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민원 분석 정보를 선제적으로 공유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