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보건복지부, 제3차 노후준비 지원 기본계획 수립 착수
  • 정민희 기자
  • 등록 2025-05-22 15:18:17
기사수정


보건복지부는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될 제3차 노후준비 지원 기본계획 수립에 본격 착수했다고 22일 밝혔다.


해당 기본계획은 「노후준비지원법」에 따라 5년마다 수립되는 국가 차원의 중장기 계획으로, 국민이 생애 전반에 걸쳐 재무, 건강, 여가, 대인관계 등 다양한 영역에서 체계적으로 노후를 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번 제3차 계획은 초고령사회 진입과 노후준비 부족이라는 현실을 반영해 ▲노후준비서비스 보편화 ▲맞춤형 서비스 체계 고도화 ▲인식 제고 및 참여 확대 ▲정책 기반 고도화 등의 4대 전략을 중심으로 수립된다. 실제로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기준 60세 이상 인구의 노후준비율은 66.7%에 그치고 있다.


정부는 계획 수립 과정에서 국민 의견을 적극 반영하기 위해 4월부터 9월까지 전문가 포럼 6회, 공개토론회 2회를 포함한 총 8차례의 공개적 논의 자리를 마련한다. 이를 통해 정책 초안은 9월까지 마련되며, 이후 관계부처 의견 수렴과 고령사회위원회 심의를 거쳐 12월 최종 확정된다.


이번 계획은 전달체계 개편, 상담 인력 전문화, 비대면 서비스 강화, 그리고 지자체 중심의 지역노후준비지원센터 확대 등을 주요 내용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세대와 계층을 위한 맞춤형 상담과 콘텐츠 보급도 함께 추진된다.


보건복지부 김상희 인구아동정책관은 “노후준비는 개인과 국가가 함께 책임져야 할 과제”라며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마련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노후지원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0
유니세프
국민신문고고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