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서울특별시 교육감 보권선거 교육감 조전혁 후보 보도자료
10월 10일(목) 서울특별시 교육감 보궐선거 조전혁 후보의 교육청 기자단 초청 대담회가 있었다.
이번 선거는 조희연 전 교육감의 불법 채용 비리로 인한 보궐선거로, 시민들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조전혁 후보는 이번 대담회에서 중도보수 단일후보로서 서울 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다음은 기자 간담회에서 밝힌 조전혁 후보 발언의 주요 내용이다.
조전혁 후보는 지난 10년간의 서울 교육을 '어둠의 시기'로 규정하며, 조희연 전 교육감의 혁신학교와 학생인권조례 정책이 실패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서울 학생들의 학력 저하와 교권의 무너짐, 그리고 학생들의 인성 하락을 지적하며, 이를 회복하고 서울 교육을 정상화하는 데 전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공교육의 품질 관리를 강화하고, 학부모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해 '학부모의회'를 신설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또한, 조 후보는 교육의 중요성을 경제, 사회, 역사적 관점에서 설명하며, 교육이 개인과 사회의 성공을 뒷받침하는 핵심 변수라고 강조했다. 그는 좋은 공교육을 통해 모든 학생들이 사회적 계층 이동의 기회를 가지며, 건강한 사회를 만들어갈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공교육의 품질 관리와 학생 인성 교육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제시했다.
조 후보는 '학교평가청' 신설을 통해 서울의 모든 학교에 대한 교육력을 평가하고, 이를 통해 공교육의 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학생의 권리와 의무를 균형 있게 다룰 수 있도록 기존의 학생인권조례를 '학생권리의무조례'로 개정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학생들이 권리와 자유에는 반드시 책임이 따른다는 것을 배우고, 자유민주주의 사회의 성숙한 시민으로 성장하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디지털 중독 문제에 대해서도 조 후보는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그는 학교 내에서 학생들의 휴대폰 사용을 제한하는 '디지털 낄끼빠빠 정책'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학습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디지털 중독으로부터 보호하겠다는 것이다. 프랑스의 사례를 인용하며, 등교 시 휴대폰을 수거하고 하교 시에 반환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조전혁 후보는 교권 회복을 위해 교사들을 보호하는 다양한 방안을 제안했다. 교사가 민원인과 직접 대면하지 않도록 '교육청콜센터'를 운영하고, 교권보호관 제도를 통해 교사들이 소송 등의 문제로 고통받지 않도록 지원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는 "교사가 안전하고 행복해야 학생도 안전하고 행복할 수 있다"며, 교사의 권위를 존중하고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보궐선거는 조희연 전 교육감의 채용 비리로 인해 발생한 선거로, 그 책임을 묻고 새로운 교육 정책을 수립할 중요한 기회이다. 조전혁 후보는 지난 20여 년간 교육 시민 활동가, 국회의원, 그리고 서울시 교육 정책 위원장으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서울 교육을 정상화하고, 다시 한 번 교육을 통해 대한민국을 발전시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그는 "서울 교육을 10년 만에 정상화하겠다"며, 시민들의 지지를 호소했다.
서울시민과 학부모들은 이번 선거를 통해 지난 10년간의 교육 정책에 대한 평가와 더불어, 앞으로의 교육 방향을 결정할 중요한 선택을 해야 한다. 조전혁 후보의 정책이 서울 교육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