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독도 영유권 갈등, 국내 정치 갈등과 외교적 긴장 고조 우려
  • 최득진 주필
  • 등록 2024-10-24 04:31:51
  • 수정 2024-10-24 11:29:11
기사수정

대한민국 외교부 제공


최근 서울에서 열린 '트래블쇼 2024'에서 일본 정부가 독도를 '다케시마'로 표기한 지도를 배포하며 영유권을 주장한 사건이 발생해 큰 논란을 일으켰다. 이에 10월 23일 민주당의 ‘윤석열 정권 독도 지우기 진상조사 특별위원회’는 일본 정부에 강력히 항의하는 서한을 주한 일본대사관에 전달하며 정부 차원의 대응을 촉구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를 둘러싼 국내외 상황은 독도 문제 해결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먼저, 독도 문제는 한국 내부에서 정치적 갈등을 심화시키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민주당은 일본의 영토 도발에 대한 대응 과정에서 현 정부의 역할을 비판하고 있으며, 이를 ‘윤석열 정권 독도 지우기’로 표현하며 비난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로 인해 독도 문제에 대한 초당적 대응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치권에서의 갈등은 외교적 사안이자 민감한 영토 문제인 독도 이슈를 해결하는 데 걸림돌이 될 수 있다. 국민적 자존심이 걸린 문제이지만, 지나친 정치적 공방은 오히려 실질적인 외교적 성과를 내기 어렵게 만들 가능성이 크다. 전문가들은 독도 문제는 한 목소리로 대응해야 할 사안이지만, 현 정부와 야당 간의 대립이 장기화될 경우 이를 국제사회에 효과적으로 알리는 데에도 장애물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또한 이번 사건으로 인해 한일 간의 외교적 긴장이 고조되면서, 두 나라의 관계는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독도 문제를 둘러싼 지속적인 갈등은 양국 간 경제 협력과 안보 협력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동북아시아 지역의 불안정성이 증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사건의 여파는 단순히 한일 양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일본은 이미 수년간 독도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이어왔으며, 이번 사건을 계기로 한국과의 외교적 대립이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 양국 간의 경제적·문화적 교류가 위축될 수 있으며, 군사적 협력도 상당한 타격을 입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황에서 국제사회가 한국과 일본 사이에서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게 된다면, 한국은 외교적 고립을 경험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독도 문제에 대한 한국의 강경 대응은 국제사회에서 자칫 외교적 고립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점도 위협 요소로 작용한다. 일본은 경제적·외교적으로 강력한 영향력을 가진 국가이며, 국제사회의 주요 국가들과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반면 한국이 일본에 대한 강경한 입장만을 고수할 경우, 일부 국가들은 한국의 입장을 충분히 지지하지 않을 가능성도 존재한다는 냉철함을 유지해야 한다.


결국, 이번 독도 영유권의 국내 정쟁화는 영토 문제를 넘어, 한일 관계와 동북아시아의 외교적, 안보적 균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사안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감정적 대응보다는 전략적인 외교적 해법이 필요하며, 국내 정치적 갈등을 최소화하고 국제사회의 지지를 얻기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

0
유니세프
국민신문고고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