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WHO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 백신 품질관리 교육 3주간 서울서 진행
  • 최득진 주필
  • 등록 2024-10-28 07:29:10
  • 수정 2024-10-28 08:52:07
기사수정

출처: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서울)2024년 10월 28일 – 세계보건기구(WHO)와 한국 보건복지부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2024년 2차 바이오의약품 품질관리 기본교육이 10월 29일부터 11월 14일까지 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에서 개최된다. 이번 교육은 한국이 지정된 WHO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의 일환으로 진행되며, 중·저소득 국가 42개국에서 온 183명의 바이오 인력과 국내 13명 등 총 196명이 참여한다.



백신 품질관리 이론 교육, 글로벌 바이오 인력 양성의 핵심

이번 교육은 지난 6월 백신 생산공정에 이어 두 번째로 마련된 이론 교육이다. 교육생들은 생물안전(Bio-safety),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MP), 비임상시험관리기준(GLP) 등 백신 생산의 필수 요소를 중점적으로 배우게 된다. 교육 과정은 (재)글로벌바이오인력양성허브 지원재단과 국제백신연구소(IVI)가 주관하며, WHO가 지정한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로서 한국이 감염병 대응을 위한 세계적 백신 인력 양성에 기여하고자 기획되었다.


교육 효과와 확대 계획

대한민국은 지난 3년간 WHO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를 통해 전 세계 백신 생산 역량 강화에 크게 기여해왔다. 2022년 이래 총 2,000명이 넘는 글로벌 인재가 한국의 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했으며, 참여자들은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보건복지부는 이번 교육 이후에도 다양한 교육과정을 확대해 나가며, 오는 11월에는 WHO와 협력하여 mRNA 백신을 직접 제조해보는 실습교육도 실시할 예정이다.


글로벌 바이오 허브로의 도약

보건복지부 정은영 보건산업정책국장은 "한국은 WHO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를 통해 백신 생산 능력 확충에 기여하고 있으며, 이번 품질관리 교육을 통해 글로벌 바이오 인재들이 자국 내 백신 생산과 보급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이를 통해 한국은 바이오 헬스의 중심 국가로 자리 잡고, 글로벌 바이오 인력 양성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교육 과정은 서울에서의 3주간의 집중 학습을 통해 백신 품질관리 및 생산 기술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중·저소득국 바이오 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적 협력의 일환으로 그 의미가 크다.


2024년 백신․바이오의약품 품질관리 교육과정의 세부 사항 표


구분
주제
교육시간(시간)
사전 온라인 교육품질보증, 품질관리와 의약품 제조·품질 관리 기준 (QA, QC, GMP)19
프로그램 개요 및 소개프로그램 소개3
비임상시험 관리기준 (GLP)GLP 소개 및 기초, 자원, 특성화, 연구 규칙, 결과 수집, 품질보증, 단계적 구현8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GMP)개요, 건물 설계 및 시공, 위생 시설 관리, 장비·기구 관리16

개인 위생, 제품 및 공정 관리, 원료·성분 관리, 인력 교육 및 역량24

위험 관리, 책임 경영 및 개선, 보관·유통, 해충 방제, 자체 점검12
기록관리기준 (GDP)문서화 및 기록 관리4
임상시험 관리기준 (GCP)임상시험 개요4
임상시험검체분석 관리기준 및 바이오뱅크 (GCLP)GCLP 지침, 시설·장비 관리, 바이오뱅크 시스템 관리4
생물안전 (Biosafety)생물안전 개요, 생물학적 안전 원칙, 생물학적 위험 평가2

생물안전 프로그램, 바이오 보안과 위험관리1

물질·폐기물 관리, 생물안전 시설·장비, 개인 보호 장비2

비상 대응3
시험 및 조별 과제교육 후 시험 및 조별 과제3
견학관련 시설 견학24
총 교육시간-139

이 표는 교육의 주요 주제와 시간을 요약하여, 교육 과정 전반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다음은 WHO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의 이번 교육과 관련된 중요 사항을 요약한 표이다.


항목
세부 내용
교육명2024년 2차 백신·바이오의약품 품질관리 기본교육
기간2024년 10월 29일 ~ 11월 14일 (3주간)
장소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
참여 인원총 196명 (중·저소득국 42개국 183명, 국내 바이오 인력 13명)
주최 기관세계보건기구(WHO), 한국 보건복지부
교육 주관(재)글로벌바이오인력양성허브 지원재단, 국제백신연구소(IVI)
교육 주제- 생물안전(Bio-safety)
-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MP)
 - 비임상 시험관리기준(GLP)
교육 목표- 백신·의약품 생산에 필요한 안전 및 품질 관리 기준 이해
향후 계획- mRNA 백신 제조 실습교육(11월 예정)
성과 및 만족도2023년 교육생 만족도 평균 4.6점(5점 척도)
누적 교육 실적2022년부터 총 2,000명 이상 (대면 교육 및 온라인 교육 포함)
교육 후 기대 효과참여자들이 자국 백신 생산과 보급에 핵심적 역할 수행 기대

이 표는 교육의 핵심 사항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재구성한 것이다.[출처: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0
유니세프
국민신문고고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