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통계청, 2024년 10월 고용동향 발표
  • 최득진 주필
  • 등록 2024-11-13 08:38:30
기사수정

자료 통계청 제공


2024년 10월 고용동향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고용률과 실업률, 경제활동인구 등이 전년 대비 소폭 변화하였으며, 연령 및 산업별로 고용 시장의 구조적 변화를 보였다. 아래 표는 주요 지표를 정리한 것이다.


지표
2023년 10월
2024년 10월
증감
15~64세 고용률69.7%69.8%+0.1%p
청년층(15~29세) 고용률46.4%45.6%-0.8%p
실업률2.1%2.3%+0.2%p
청년층 실업률5.1%5.5%+0.4%p
취업자 수2,884만 7천 명2,884만 7천 명+8만 3천 명
비경제활동인구1,608만 2천 명1,608만 2천 명+2만 1천 명


  1. 연령별 고용 변화:

    • 30대와 60세 이상에서 고용률이 상승했으나, 20대와 청년층의 고용률은 하락세를 보였다.
    • 청년층의 취업자 수는 18만 2천 명 감소, 고용률은 0.8%p 하락하여 청년 고용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 산업별 취업자 수 변화:

    • 보건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9만 7천 명), 교육 서비스업(+8만 4천 명),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만 7천 명)에서 고용이 증가한 반면, 도매 및 소매업(-14만 8천 명), 건설업(-9만 3천 명), 농림어업(-6만 7천 명)에서 감소세를 보였다.

  3. 종사상 지위별 변화:

    • 상용근로자와 임시근로자는 각각 9만 1천 명, 10만 5천 명 증가했으나, 일용근로자는 10만 명 감소했다.
    • 자영업자의 경우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가 증가(+4만 4천 명)했으며,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감소(-7천 명)했다.

    • 비경제활동인구의 변화:
    • '쉬었음' 인구는 20만 7천 명 증가(9.2%)한 반면, 육아에 따른 비경제활동인구는 11만 2천 명 감소했다.

  4. 고용보조지표:

    • 확장 실업률(고용보조지표3)은 전체 8.0%로 전년 대비 0.1%p 하락했으며, 청년층 확장 실업률은 15.2%로 변동이 없었다.

이번 10월 고용동향은 청년층의 취업 기회 축소와 특정 산업에서의 고용 감소가 주요 문제로 지적된다. 동시에 보건, 교육, 전문 과학 분야의 고용 증가는 사회 서비스 분야의 수요 증가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출처: 통계청 보도자료]

0
유니세프
국민신문고고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